본문 바로가기

DevOps16

#16 Docker2 컨테이너 이름 : docker run -d -name=[컨테이너 이름] [이미지 이름(태그 생략)] > -d 옵션 : 백그라운드 실행 > -name 옵션 : 컨테이너의 이름을 직접 명시 > 이미 동일한 이름의 컨테이너가 있는 경우 중복 에러 발생환경 변수 : docker run -d -e [환경변수 작성] [이미지 이름(태그 생략)] [[컨테이너에서 실행할 첫 번째 프로세스] > 컨테이너 생성 시 환경변수 지정 가능 > -e(--env) 옵션 : 환경 변수 지정 > Name=Value 형식 > 위의 사진은 2개의 명령어 1. docker run -d -e MYENV=foo centos env 2. grep MyENV > 컨테이너의 이식성을 유지 : 컨테이너의 동작을 변경하는 설정 > 컨테이너 외부에.. 2025. 6. 12.
#15 Docker 컨테이너 : 가상화 기술 -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환경 = 독립된 환경에서 실행 가능 =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 가상환경 = 여러 개의 가상환경 실행이 가능 = 의존성 문제 해결 : 가상 머신은 아님 : kernel을 가져와 명령어들이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별도의 파티션, 디스크 레이아웃 등을 가질 수 있는 환경 : host 환경에 대비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같은 환경 제공 : host의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지 않음 -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실행을 자동화 가능더보기가상화 기술 : 가상화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구축하고 그 위에 운영체제를 올리는 방식Docker - Docker.Inc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- 컨테이너 기술을 활용한 것 중 하나 - Go 언어로 작성.. 2025. 6. 12.
#14 ChatOps ChatOps : 운용의 효율화 - 운용에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채팅 도구를 통해 효율화 함 - 운용에 필요한 정보, 운용에 필요한 작업, 커뮤니케이션 > 채팅 도구 - ITS : Issue Tracking System - CI : Continuous Integration장점 - 커뮤니케이션 도구 일원화 : 커뮤니케이션 = 메일, 대화 = 채팅, 시스템 조작 = 각 도구 관리 화면 : 위 와 같은 것을 하나로 일원화 - 작업을 Shotcut(바로가기) 할 수 있음 : 단순 Deploy 혹은 단순 정보 취득 - 이를 위한 작업이 복잡한 경우 : 작업에 걸리는 노력이 적어짐 - 반복 가능성이 많은 것 > Shot cut > 부담 감소 : 채팅 도구에 타이핑 => 원하는 작업의 실현 - 조작 및 결과.. 2025. 6. 11.
#13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더보기DevOps 도구 : Infra 구성 관리 도구 개발 : Git, Gitlab CI/CD : Gitlab runner, Github ActionFlicker로부터 DevOps가 시작 > Google에서도 DevOps와 비슷한 내용이 존재 했음 : 운영에 조금더 초점이 맞춰져 있던 형태 > Site Reliability Engineering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링(Site Reliability Engineering / SRE) - DevOps를 운용하는 방법 중 하나 - Google의 운영으로 축적된 노하우 - DevOps와 달리 운영에 초점을 맞춘 개념사이트 신뢰성(Site Reliability) - 어떤 것에서 저하가 발생 = 비즈니스 실현의 저해 확률을 높이는 것 : ex) 시스템 가용성(Av.. 2025. 6. 11.
#12 DevOps와 애자일 개발 애자일 개발 - DevOps의 전신이 되는 개발 방법 - 개발 방법의 개선 + 팀 구성의 변화 => 지속적 성과물 개선애자일 개발 방법론 - 계속적인 프로세스 확장 > 지속적 통합 방법 > 개발과 운영의 관계 개선 > DevOps의 시작서비스 개발의 성공 - 애자일 개발이 해결하고자 했던 과제 : 서비스 개발의 성공 - 서비스 개발 성공의 의미 : 요건이 정의된 사양 > 납기까지 완성 : 모두 충족했으나 사업 실패 - 폭포수 모델 : 치밀한 시장조사 ~> 기획/요건 정의 ~> 난관 극복 ~> 납기 내 릴리즈 : 개발 도중, 경쟁사의 유사한 서비스 등장 및 시장 선점 > 시장 점유율 확보 실패 > 사업 실패로 이어짐 - 단순히 계획대로 서비스를 릴리즈 하는 것 뿐만 아닌 비즈니스적 가치를 제공해.. 2025. 6. 11.
#11 인프라 아키텍쳐 변경 DevOps 실현 - Immutable Infrastructure로의 변경 : 운영 영역 - Deployment 방법론 변경 > ex) Blue-Green Deployment : 운영 영역 - Public Cloud(Cloud 환경이 유리) : 운영 영역 - SaaS 솔루션 활용 : 운영 영역 - Log 수집 및 분석 : 운영에서 개발 개선으로 가는 영역Immutable Infrastructure - 기존 인프라의 사례(문제점) : 개발 환경에서 어떤 설정을 하고 동작하는지 테스트하여 확인(문제 없음 확인) : 이후, 운영환경에서 실시했더니 문제 발생 예시1) - 문제 : 필요한 모듈이 없어 동작하지 않음 - 진단 : 개발 환경에서 이전의 테스트를 위해 도입했었던 모듈 존재(운영환.. 2025. 6. 11.
반응형